he-era 님의 블로그

해외 화장품 시장 진출을 위한 각국의 화장품 규제 정보를 제공합니다. 🌎

  • 2025. 3. 24.

    by. he-era

    목차

      글로벌 화장품 수출 시 '라벨링'이 중요한 이유

      화장품을 수출할 때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가장 많은 오류가 발생하는 부분이 바로 '라벨(Label)'입니다. 제품에 부착되는 라벨은 단순한 디자인 요소를 넘어, 해당 국가의 법적 요건을 충족해야 하는 필수 요소입니다. 잘못된 라벨링은 세관 통관 지연, 판매 금지, 심지어 과징금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수출 기업은 국가별 규정을 철저히 숙지해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글로벌 주요 국가들의 화장품 라벨링 규정을 비교 분석해, 실무에 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정리해드리겠습니다.

      국가별 화장품 라벨링 규정 총정리: 수출 전 반드시 알아야 할 글로벌 가이드

      1. 유럽(EU) 화장품 라벨링 규정

      ✅ 적용 법령: Regulation (EC) No 1223/2009

      유럽연합(EU)은 세계에서 가장 까다로운 화장품 규제를 시행하는 지역 중 하나입니다. 라벨링은 소비자 보호와 제품 추적성을 보장하기 위해 엄격히 규정되어 있습니다.

      필수 표시 항목

      • 제품 명칭
      • 목적 (ex. 핸드크림인지 바디로션인지 등)
      • 사용 방법 (필요한 경우)
      • INCI 성분명 전체 리스트
      • 유통기한 또는 PAO(개봉 후 사용 가능 기간)
      • 책임자 정보 (Responsible Person)
      • 제조국 또는 수입국 정보 (optional)
      • 용량(g 또는 ml)
      • 배치번호(Batch No.) 또는 생산 일자
      • 경고 문구 (필요 시 다국어 표기)

      언어 요건

      • 제품이 유통되는 국가의 공용어로 표기해야 함 (예: 프랑스에서는 프랑스어)

      2. 미국(USA) 화장품 라벨링 규정

      ✅ 적용 법령: FD&C Act, Fair Packaging and Labeling Act

      미국의 화장품 라벨링 규정은 **FDA(미국 식품의약국)**이 관할하며, 최근 MoCRA 시행으로 규정이 강화되었습니다.

      필수 표시 항목

      • 제품명 및 기능
      • 정확한 성분 목록 (descending order by predominance)
      • 정량 표시 (Net Weight)
      • 제조업체 또는 수입업체 정보
      • 사용 방법, 주의사항
      • Drug Facts (OTC 제품의 경우)

      특징

      • INCI명이 아닌 일반 소비자용 명칭으로 성분을 표기하는 경우도 존재
      • 영어 표기 필수 (다국어 병기 가능)
      • OTC 제품은 의약품 수준의 라벨링 필요

      3. 중국 화장품 라벨링 규정

      ✅ 적용 법령: 《化妆品监督管理条例》 및 《化妆品标签管理办法》

      중국은 2021년부터 새로운 라벨링 규정이 시행되며, NMPA(국가약품감독관리국)의 관리하에 화장품 표시 기준이 강화되었습니다.

      필수 표시 항목

      • 제품명 (중문 포함)
      • 제품 유형
      • 전성분 (INCI 기반, 중국어 병기 필수)
      • 제조업체 및 책임회사 정보
      • 생산 일자 및 유통기한
      • 제품표준번호 (등록번호)
      • 사용 방법 및 주의사항

      주의사항

      • 성분 목록은 ‘중문+INCI명 병기’ 필수
      • 모든 정보는 중국어로 명확히 기재되어야 함
      • QR코드를 통한 전자 등록 정보 제공 요구될 수 있음

      4. 한국 화장품 라벨링 규정

      ✅ 적용 법령: 화장품법, 표시기재기준 고시

      한국은 식약처(MFDS)에서 화장품 표시 기재를 관리하며, 수입화장품과 국내 제조 화장품 모두에 라벨 요건이 적용됩니다.

      필수 표시 항목

      • 제품명
      • 용량
      • 기능성 여부 및 심사 결과 표시 (해당 시)
      • 책임판매업자 및 제조업자명
      • 유통기한 또는 사용기한
      • 사용방법 및 주의사항
      • 전성분
      • 제조번호 또는 제조 일자

      특징

      • 한글로 표기되어야 하며, 수입화장품은 책임판매업자 정보가 반드시 있어야 함
      • 일부 성분은 알레르기 유발 성분 표시 대상임

      5. 일본 화장품 라벨링 규정

      ✅ 적용 법령: 약사법 및 화장품표시기준

      일본 후생노동성이 정한 기준에 따라, ‘화장품’과 ‘의약부외품’의 구분에 따라 라벨 요건이 달라집니다.

      필수 표시 항목

      • 제품명
      • 전성분 (일본어 표기, 고유 명칭 기준)
      • 제조업체명 및 주소
      • 제조번호
      • 용량 및 사용 기한
      • 사용방법
      • 주의사항

      언어 요건

      • 모든 정보는 일본어로 표기되어야 하며, 영어 병기는 선택 사항

      라벨링 실수 방지를 위한 체크리스트

      1. 현지어 표기 필수 여부 확인
      2. 책임자 정보(Responsible Person, RP) 요구되는지 여부
      3. 기능성 제품에 대한 별도 표시 규정 존재 여부
      4. 성분 표기 방식(INCI명, 일반명 등) 차이점 숙지
      5. 규정 업데이트 여부 최신 상태 유지

      결론: 라벨링은 수출의 성패를 좌우한다

      라벨링은 단순한 포장 디자인의 문제가 아니라, 제품의 합법성, 브랜드 신뢰도, 통관 속도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고자 하는 화장품 브랜드는 반드시 국가별 라벨링 규정을 철저히 숙지하고, 전문가의 검토를 거쳐 라벨을 완성해야 합니다.

      특히 최근에는 각국의 규제가 수시로 업데이트되므로, 법령 모니터링과 규정 반영 시스템을 내부에 구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확한 라벨링은 단지 리스크를 피하는 수준을 넘어서, 브랜드의 신뢰를 확보하고 소비자와의 소통을 강화하는 핵심 전략이 됩니다.